본문 바로가기

영화

[원더풀 라이프]영화보다 문학으로 어울릴 작품


  엔딩 크레딧이 오르자 허탈함이 나를 감쌌다. 단순히 국내 최고라고 손꼽히는 평론가가 극찬한 영화라는 기대로 쉽게 선택했던 나에게 회의감이 들었다. 새해 들어 일 외의 목적으로 나선 오늘 하루는 꽤 완벽했다. 일년 전 부터 방문을 희망하며 검색창에 가게 이름만 열 번도 넘게 검색했던 라이프 스타일을 판매하는 카페는 상상 이상으로 특별한 경험을 하게 해주었으며 최근 관심있게 본 의류 브랜드의 매장에서의 경험도 만족스러웠다. 하지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영화가 맥없게 끝나는 장면을 보자 허탈함과 함께 당혹스러움이 나를 감쌌다.


  무엇인가 더 있겠지. 엔딩 크레딧 영상 이후에 무언가 해소시켜줄 것이 남아있겠지. 나의 소망은 점점 자리를 떠나는 다른 관객들처럼 서서히 비어가고 있었다. 나가는 관객의 흐름과 반대로 책상과 의자를 들고 영화관 스탭이 들어왔다. 영화 상영 이후 다른 업무를 위해 설치하는 것일까. 이와 같은 의문을 가질 즈음 영화의 엔딩 크레딧의 흰 글씨가 사라졌다. 그러면서 다음 행사를 짐작하게 할 수 있는 현수막과 함께 스크린에 시네마 톡이라는 슬라이드가 표시되었다. 영화 티켓을 다시 살펴보니 영화 제목 원더풀 라이프 뒤에 괄호로 시네마 톡이 적혀있었다.


  시네마 톡은 웹툰 죽음을 위하여의 작가와 영화관련 기자의 진행으로 포문을 열었다. 웹툰 작가의 말 첫 마디가 내가 가지고 있던 허탈함을 부끄러움으로 바꿔버렸다. 오랜만에 호흡이 긴 영화를 만나게 되어 기뻤다. 이 말 한 마디는 많은 생각이 들게 했고 어긋나있던 퍼즐을 맞춰주었다. 최근 상업 영화 중 흥행하는 영화를 주로 보던 나는 성공(흥행)하기 위한 영화는 ~이래야만 한다라는 생각을 무의식적으로 하고 있었다. 궁금증, 복선을 철저히 던지며 영화의 말미에 이 모든 것을 해결한다. 그런 면에서 원더풀 라이프는 철저히 불친절하였으며 성공적이지 못한 영화였다. 하지만 내가 찾은 영화는 상업 영화가 아닌 문학으로서의 영화였기에 나의 태도는 잘못된 것이었다.


  영화의 느린 호흡은 관객으로 하여금 극의 진행과 함께 생각할 여유를 준다. 문학의 창작의 주체는 작가이지만 이를 읽는 독자가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야하는 것처럼 영화감독은 주체적으로 영화를 만들었으며 관객으로 하여금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생각의 전환의 이르자 영화를 다시 보고 싶어졌다. 하지만 지금 당장 그럴 순 없기 때문에 천천히 영화의 내용을 복기해보았다. 서두르지 않는 템포의 작품은 전개는 복기하기에 더 없이 좋은 컨텐츠였으며 시네마 톡을 통해 사람들과 의견을 공유하는 환경은 이를 더 매끄럽게 만들어주었다. 죽은 이후의 제한된 시공간에서의 이야기를 한 영화에서 궁금증을 유발하는 주된 포인트는 크게 세 가지였다.


  첫째는 죽음에 관한 가치관의 이야기이다. 영화에서 말하는 죽음 이후(After)”는 생애 가장 행복했던 기억 하나만을 남긴 채 모든 기억을 잊고 저세상으로 떠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종교적인 시각이나 우리 사회에서 흔히 말하는 권선징악에 대한 시각은 다소 외면된다. 죽은 이후에는 누구나 똑같은 상황이 주어지며 죽음 이전의 삶은 잘잘못을 따지지 않고 가장 행복했던 기억 하나만 선택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사람들의 질문이 이어졌고 영화의 감독은 아니지만 비슷한 소재로 웹툰을 만든 작가가 작가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했다. 특정 종교적인 시각에서 작품을 풀어낸다면 이는 그 종교와 다른 시각을 가진 종교인으로 하여금 작품에 대한 불편함을 만들어내고 역으로 다른 종교를 선택하면 또한 그럴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었다. 이 생각은 나아가 보다 많은 사람과 보편적인 이야기를 풀어내고자 하는 작가의 생각에서는 이 선택이 최선이었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을 할 수 있었다.


  둘째는 감독의 연출에 관한 내용이었다. 영화의 대부분의 시간을 행복한 기억을 찾는 것에 집중하고 정작 행복한 기억에 대한 섬세한 묘사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업영화에 익숙한 사람들이라면 영화 말미에 행복한 기억에 대한 묘사를 기대하고 기다렸을 것이다. 하지만 영화에서 해당 기억에 대한 촬영본 상영의 비중은 매우 적다. 이에 대한 작가의 의견은 행복한 기억을 직접 보여주는 것으로 그 효과를 나타낼 수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 강한 울림을 주었다. 아무리 뛰어나게 영상으로 표현하더라도 이를 받아드리는 사람에게 온전히 전달됨이란 불가능하다. 지극히 주관적인 누군가의 행복은 바깥으로 나와 객관적으로 전달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그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언어와 상황 제시로 전달을 대신하는 것이다.


  마지막은 영화에서 나오는 달에 관한 내용이었다. 이 부분은 영화에서 나왔던 부분 중 개인적으로 가장 매력 있는 부분이라 생생하다. 개인적으로 달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지구에서 보는 달은 멀리 떨어져 있지만 실제로 실체로서 존재한다. 여기서 달은 죽은 사람에게 살아왔던 삶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존재했으며 지구와 달이 떨어진 것처럼 지금은 죽은 뒤 삶을 돌아보고 있는 것과 비슷하다. 극중 표현에서 각도에 따라 빛이 반사되는 차이가 생겨 그 모습이 바뀐다고 표현한 것은 존재적으로 동일한 우리의 삶이 어떤 각도의 시각을 통해 보느냐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7일간 계속 달의 모습이 변하는 것처럼 우리가 계속 우리의 삶을 다른 시각으로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달이 그림으로 드러나는 장면은 이러한 점의 상징성을 더해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미숙한 선택은 섣부른 판단을 일으켰고 성급한 비판은 부끄러움을 가중시켰다. 한해의 완벽한 시작을 꿈꿨던 날이었지만 완벽함으로 다가갈 수 있는 모자란 불완전함을 느낄 수 있는 하루였다. 참 좋은 영화이자 친절한 영화 원더풀 라이프였다.